외출할 때마다 여러 기기에서 인터넷을 사용해야 해서 고민이셨나요?
데이터쉐어링과 핫스팟은 우리의 스마트기기 활용도를 높여주는 똑똑한 방법이랍니다!
오늘은 데이터쉐어링과 핫스팟(테더링)의 차이점부터 통신사별 서비스 정보, 셀프 개통 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데이터 공유 방법을 찾아보세요!
데이터쉐어링과 핫스팟(테더링)의 차이점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다른 기기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데이터쉐어링과 핫스팟(테더링)이 있어요.
두 서비스 모두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다른 전자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지만, 작동 방식과 특징이 다르답니다.
구분 | 데이터쉐어링 | 핫스팟(테더링) |
---|---|---|
연결 방식 | 별도의 유심(USIM) 사용 | 와이파이, 블루투스, USB 연결 |
거리 제한 | 거리 제한 없음 (원거리 사용 가능) | 근거리 사용만 가능 |
배터리 소모 | 적음 | 많음 |
연결 기기 수 | 통신사별 제한 (보통 1~2대) | 다수 기기 연결 가능 (1:N) |
별도 신청 | 필요 (통신사 신청) | 불필요 (핸드폰 설정만으로 가능) |
데이터쉐어링은 별도의 유심칩을 이용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이에요. 스마트폰과 떨어져 있어도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소모도 적다는 장점이 있죠.
반면 핫스팟(테더링)은 스마트폰을 와이파이 공유기처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별도 신청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배터리 소모가 크고 기기 간 거리 제한이 있어요.
데이터쉐어링 특징과 장점
데이터쉐어링은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별도의 유심을 이용해 다른 기기에서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이 서비스는 LTE나 5G 모델의 태블릿, 노트북 등 유심을 장착할 수 있는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답니다.
데이터쉐어링의 가장 큰 장점은 원거리에서도 이용 가능하다는 점이에요. 휴대폰을 집에 두고 태블릿만 들고 나가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요. 또한 배터리 소모가 적고 데이터를 공유받는 기기가 늘어도 속도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어요.
하지만 별도의 유심이 필요하고, 유심 장착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어요. 또한 통신사에 따라 데이터쉐어링 서비스 이용 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가입 전에 확인이 필요해요.
핫스팟(테더링) 활용법과 종류
핫스팟(테더링)은 스마트폰을 와이파이 공유기처럼 활용하여 다른 기기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에요.
별도의 유심 없이도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지원한다는 큰 장점이 있어요.
테더링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어요:
종류 | 특징 | 장단점 |
---|---|---|
Wi-Fi 핫스팟 | 무선으로 여러 기기 연결 가능 | 전력 소모가 크고 보안에 취약할 수 있음 |
USB 테더링 | USB 케이블로 1:1 연결 | 속도와 보안, 연결성이 뛰어남 |
블루투스 테더링 | 블루투스 기능 이용 | 속도 및 보안에 취약할 수 있음 |
핫스팟의 장점은 별도 신청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하지만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되고, 기기 간 거리가 멀어지면 연결이 끊어진다는 단점이 있어요.
또한 통신사마다 테더링 데이터 사용량에 제한을 두는 경우가 많아요.
통신사별 데이터쉐어링 서비스 비교
통신사마다 데이터쉐어링 서비스의 조건과 요금이 달라요. 자신의 통신사에 맞는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통신사 | 서비스명 | 무료 지원 대수 | 추가 요금 |
---|---|---|---|
KT | 데이터쉐어링 | LTE(1~2대 무료) | 5G(월 5,000원) |
SK | T데이터셰어링 | 요금제에 따라 다름 | 5G 함께쓰기_태블릿(월 5,000원) |
LG U+ | 데이터쉐어링 | 2대까지 무료(워치는 1대만) | 3대 이상 시 월 7,700원 |
알뜰폰(KT망) | 데이터쉐어링 | 1대까지 무료 | 유심 구매 비용 별도 |
알뜰폰(LGU+망) | 데이터쉐어링 | 2대까지 무료 | 유심 구매 비용 별도 |
알뜰폰(SKT망) | 지원 안함 | - | - |
주의할 점은 알뜰폰 중 SKT망을 사용하는 통신사는 데이터쉐어링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에요.
또한 데이터쉐어링은 같은 명의로만 개통이 가능하고, 미성년자와 법인 고객은 개통이 불가능한 점도 알아두세요.
데이터쉐어링 셀프 개통 방법
KT 데이터쉐어링을 예로 들어 셀프 개통 방법을 알아볼게요. 집에서도 쉽게 개통할 수 있답니다!
준비물
1. 데이터쉐어링용 유심 또는 eSIM 발급 가능한 기기
2. 개통할 스마트 기기(와이파이 또는 핫스팟 연결 상태)
셀프 개통 단계
1. 통신사 앱 실행 (예: 마이케이티 앱)
2. 메뉴 → 샵 → 유심 가입에서 데이터쉐어링 가입 선택
3. 개통할 기기 선택 및 고객 유형 선택
4. 본인 인증 진행
5. 유심 또는 eSIM 선택 및 정보 입력
6. 데이터쉐어링 서비스를 가입할 회선 선택
7. 희망 번호 입력 및 선택
8. 작성 완료 버튼 클릭
개통 완료 후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껐다 켜면 데이터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셀프 개통은 주로 평일과 토요일 9시부터 20시 사이에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핫스팟(테더링) 설정 방법과 제한 해제 팁
스마트폰에서 핫스팟(테더링)을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해요.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의 설정 방법을 알아볼게요.
안드로이드 핫스팟 설정
1. 설정 앱 실행
2. '연결' 항목 선택
3.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선택 (데이터 절약 모드 해제 필요)
4. '모바일 핫스팟' 선택 후 비밀번호와 네트워크 이름 설정
5. 핫스팟 활성화 버튼 클릭
아이폰 핫스팟 설정
1. 설정 앱 실행
2. '개인용 핫스팟' 선택
3. '다른 사람의 연결 허용' 활성화
4. Wi-Fi 암호 설정 (보안을 위해 필수)
5. 필요시 '호환성 최대화' 활성화
많은 통신사들이 테더링 데이터 사용량에 제한을 두고 있어요. 예를 들어 SKT 5GX 레귤러 요금제는 테더링 한도가 18GB, 5GX 플래티넘 요금제는 50GB 한도제한이 있다고 해요.
테더링 제한을 우회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APN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어요. 다만 이 방법은 통신사 정책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
APN 설정 변경 방법
1. 설정 → 연결 → 모바일 네트워크 → APN(액세스 포인트 이름) 선택
2. 현재 사용 중인 APN 수정 또는 새 APN 추가
3. APN 유형에 'default,supl,dun'(dun 추가) 입력
4. 설정 저장 후 스마트폰 재부팅
자주묻는 질문(FAQ)
데이터쉐어링과 테더링 중 어떤 것이 더 좋은가요?
상황에 따라 다르답니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데이터를 사용하고 싶거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싶다면 데이터쉐어링이 좋아요. 반면 여러 기기를 연결하거나 별도 신청 없이 바로 사용하고 싶다면 테더링이 좋을 수 있어요. 결국 사용 환경과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데이터쉐어링으로 개통한 유심으로 테더링도 사용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데이터쉐어링으로 개통한 기기에 유심을 장착한 후 해당 기기에서 테더링(핫스팟) 기능을 활성화하면 다른 기기들과 인터넷을 공유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데이터쉐어링의 장점(원거리 사용)과 테더링의 장점(다수 기기 연결)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답니다.
알뜰폰에서도 데이터쉐어링을 이용할 수 있나요?
네, 대부분의 알뜰폰에서도 데이터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다만 통신망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달라요. KT망과 LG U+망을 사용하는 알뜰폰은 데이터쉐어링을 지원하지만, SKT망을 사용하는 알뜰폰은 데이터쉐어링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해요. 가입 전에 고객센터를 통해 가능한 요금제 및 기기인지 사전 확인해보는 것이 좋아요.
마치며
오늘은 데이터쉐어링과 핫스팟(테더링)의 차이점과 활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 두 서비스 모두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다른 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해주지만, 작동 방식과 특징이 달라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원거리에서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사용하고 싶다면 데이터쉐어링이, 별도 신청 없이 바로 여러 기기와 데이터를 공유하고 싶다면 핫스팟이 더 적합할 수 있어요. 여러분의 상황과 필요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서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활용해보세요!
통신사마다 제공하는 서비스와 요금이 다르니, 자신의 통신사 정보를 꼭 확인하고 최적의 데이터 활용 방법을 찾아보세요. 스마트한 데이터 활용으로 더 편리한 디지털 라이프를 즐기길 바랄게요!